본문 바로가기

2011년 이전 작업 /촛불집회기록들

어린이들이 말하는 지도자의 자격①

2006년 말~2007년 초, 초등학생을 대상(10人)으로 ‘나를 열 받게 하는 교육제도’를 주제로 인터뷰를 행한 적이 있다. 그리고 당시 어린이들에게 지도자는 어때야 하는가를 물은 적이 있다. 물론 지금의 사태를 예견하고 물어본 것은 아니었다. 어린이들의 답변을 보면 왜 거리로 뛰어나올 수 밖에 없었는지 알 게 된다.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살고 싶어하는 세상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다시 정리해서 올린다. (인터뷰 지역은 제주도다)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(1) 초등학교 5년 男
(인터뷰 날짜 2006/12/9) 이 어린이는 내 조카라 반말투성이다.

- 우선 자기소개를 하면?
△ 초등학교 5학년 김○○(11세, 男)

-지금 다니는 학원이 있다면?
△ 전 과목(국수사과영) 종합 반에 다닌지 3개월 됐어. 월부터 금까지 하루에 3시간 정도 수업 받아.

- 하루 일과를 말하자면?
△ 학교가 3시 20분쯤에 끝나거든. 학원은 4시 35분에 가니깐 그 사이 한 시간 놀 수 있어요. 학원은 보통 7시에 끝나는데 시험기간이 되면 그때는 남아서 2시간 정도 보충학습을 더 해. 늦으면 9시에 끝나.

- 학원 생활 어때? 재미있니?
△ 쉬는 시간은 재미 있구. 공부는 재미없어.

- 왜 재미없어?
△ 수업시간에 계속 집중을 한다면 재미있는데, 잠깐 정신이 팔리면 재미가 없게 돼. 설명을 하나 하고 다른 걸 넘어간다고 했을 때, 앞에 것을 못 들었을 거라, 생각해주고 다시 설명해주면 좋은 데 그런 게 없거든.

-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좀..?
△ 처음에 ‘무역’을 설명해. 그런데 그걸 안 들었어. 그런데 보면 그 다음 ‘우리나라 무역의 문제점’으로 이미 넘어가버렸단 말이지. 그런데 학교는 그런 게 없어. 학교는 딴 짓을 해도 이해가 돼. 진도를 아주 천천히 나가거든.

- 그럼 학교공부만 하면 되지, 왜 학원을 다니는 걸까?
△ 시험을 잘 보게 하기 위해서. 우리 엄마는 단원평가엔 관심이 없고, 중간평가나 기말고사, 재학년 평가 이런 거에 관심 있어 해.

- ‘재학년 평가’가 뭐지?
△ 그러니깐 못 보면... 학년 진급이 안 돼. 가령 80점까지 받아야 하는데 60점을 받았다 그러면 학년을 올라가지 못하거든. 그런데 그거 뻥이야. 작년에 60점을 받은 애가 있었는데 함께 5학년으로 올라왔거든. 일부러 잘 하게 하려고 만든 거야. 우리가 1학년 때, 우리 반에 장애인이 있었어. 그런데 그 애는 결국 특수반으로 갔어. 뭐랄까. 바보처럼 말도 못하고... 글도 못 써. 걔는 어린이 집에만 다녔지, 글도 안 읽어보고 문제도 안 풀어보고 온 거야. 그래서 특수반으로 갔어. 그 때 외에는 시험 때문에 진학이 안 된 애는 없었거든.

- 너희들도 시험 보면 등수가 나오니?
△ 응.

- 몇 등해?
△ 43명중에 10등 안에 들어.

- 그렇게 시험 본 다음에 등수가 나오면 기분 어때?
△ 잘 볼 때는 기분이 좋지만, 잘 못 보면 엄마에게 혼 날까봐, 싫지. 잘 보면 으스스해지면서 자랑하고 싶긴 한데... 그런 거 있잖아. 애들은 다들 틀린 어려운 문제를 내가 맞혔다. 그런 경우에 자랑하고 싶지. 나에겐 쉽고 다른 아이들에게 어려운 문제..

- ‘등수’를 매기는 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?
△ 좋은 점으로는 공부를 잘 하는 애들은 그걸 ‘유지’시켜주는 게 있을 거고, 못하는 애들에게는 화가 나서 더 놀게 만드는 효과를 낳죠. 안 좋은 점으로는 공부를 잘 하는 애들은 사실 안 놀거든요. 학원을 많이 다녀야 하니깐 하지만 등수가 낮다고 해서 그렇게 기분이 상해야만 하나?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. 축구 모임, ○○모임 이렇게 모여서 놀면 되지.

- 그럼 공부 못하는 애들끼리만 모이는 거네?
△ 만나서 놀 때 ‘공부 못하는 아이들’ 이렇게 생각하면서 만나나? 사람이 서로 잘 하는 면만 보잖아. 서로 축구를 좋아하면 ‘축구를 좋아하는 모임’ 이렇게... (웃으며) 애들이 자기네가 못하는 부분.. 가령 ‘멍청한 애들 모임’ 이러면 기분이 상하잖아. 그렇게 생각하면서 만나지는 않는다구.

- 어때? 지금까지 학원생활을 했는데... 앞으로 7년간 이 생활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?
△ 기분이 설레인다기 보다 두려워. ‘공부 못하면 어떡하지?’라고.

- 공부 못하면 어떻게 되는 데?
△ 엄마에게 혼 날 거고, 학교에서는 수업이 끝난 후에 남으라고 할 거 아냐. 그러면 1시간 놀 수 있는데 그 시간이 줄어들 거란 말이지. 그리고 공부하다가 보면, 공부보다는 ‘성적’ 때문에 공부가 잘 안 되고, 두려워져.

- 그런데 너는 그래도 10등 안에 들잖아. 나머지 33명인 애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? 나머지 친구들 인생은?
△ 그런데, 10등 안에 드는 애들은 좋은 대학 갈려고 반에서 5등 안에 들려고 더 경쟁한다고.

- 좋은 대학 들어가려면 반에서 ‘5등’안에 들어야 한다고 누가 그래?
△ 엄마

- (ㅠ ㅠ) 음. 계속 해봐.
△ 공부 잘하는 애들은 5등 안에 들어야 하는데 못 들어갈 것 같으면... 자신감을 잃게 되잖아. 그리고 엄마들도 “5등 안에 들라”고 그걸 강요한다고. 그런데 공부 못하면, “반에서 5등 안에 들라!”는 말 하지 않아. “최선을 다해라”라고 하지.

-네가 그걸 어떻게 알아? 그렇게 말하는지 어떤지?
△ 아까 재학년 평가 때 60점 맞았다는 애 있지? 걔 이름이 창수(가명)거든. 걔네 엄마가 우리 학교 급식소에서 일해. 그런데 창수에게 그러는 거야. “못해도 최선을 다해라”라고. 난 그게 부러워. 우리 엄마 어떤지 알아?

- (ㅠ ㅠ) 어떤 데?
△ (5등 안에 못 들면) 이것도 없다! (5등 안에 못 들면) 축구부도 없다! (5등 안에 못 들면) 게임도 없다! 뭐든지 시험보고 성적을 본 후에 사주잖아. 난 저번에 (용돈 안 쓴 걸 모아서) 10만원을 엄마에게 줬는데 말이야!! (둘 다 폭소) 저번에 내 생일 근처에 재 학년 평가가 있었어. 엄마가 달력을 보더니 생일 근처에 시험을 쓱 찾아보더니, 일단 성적을 보고 말하겠대!! 그런데 (시험이 끝나 시간이 한참 흐른 지금까지 선물에 대한) 아무 말이 없잖아. 내 말을 씹고 있어!!

- 그렇게 공부해서 1등하면 뭐가 좋을까?
△ 자기가 원하는 걸 하면서 살거나, 돈을 많이 벌 수 있겠죠. 하지만 비난도 많이 받을 거 같아.

- 왜?
△ 황우석으로 치자면. 자기는 열심이 일을 했는데, (1등을 못하면) 그 결과에 대해 실망할 거 같아서 사기를 쳤잖아.

- 왜 그렇게 경쟁을 하는 걸까?
△ 이득을 보려고 하는 거지. ‘돈’ 말이야.

- 그게 좋은 걸까?
△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지. 좋은 점이라면, 경쟁하면서 실력이 나아지거나, 서비스가 좋아지잖아. 가격은 내려가고 품질은 높아지고. 하지만 경쟁이 너무 심해지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지. 서로 원가를 낮추려고 하니깐. 그리고 광고도 지나치게 할 테고.

- 그런데 나중에 고등학교 졸업 후에 결국 10등 안에 든 애들에게는 기회가 되지만., 나머지 33명 친구들 인생은 어떻게 될까?
난 걔네들도 좋은 점이 있다고 생각해, 일단 스트레스를 덜 받잖아, 그럼 수명이 길 테고, (교육비 측면에서) 돈도 적게 들고 병원치료비도 적게 들고, 그리고 애들은 학원을 안 다니고 서로 같이 놀다보면 더욱 친해지잖아. 그럼 친한 애들끼리 모임을 만들 수 있을 것이고... 오히려 그런 모임이 더 부러움을 살 수가 있거든, 공부를 잘 하는 애들은 일단 안 노니깐 모임 만들기가 어렵지. 공부하다보니 친구가 없어,

- 대체 어느 대학이 좋은 대학이니?
△ 하버드가 좋은 대학이지.

-  우리나라에서 좋은 대학은 어디인데?
△ 난 연대 가고 싶어.

- 보통 우리나라에서 제일 좋은 대학이라면 ‘서울대’라고 하는데..
(웃으며) 연대에서 우유 만들잖아. (갑자기 웃기 시작함)

- 왜 웃는데?
△ 정원이란 애가 있거든, 반에서 42등을 해, 그런데 걔가 하는 말이 자긴 공부를 너무 잘 해서 자기가 하버드를 버렸대..

- 지금과 같은 경쟁은 말이야. 고등학교 때 성적 좋은 애들이 좋은 대학에 다 들어간다구. 그리고 그 아이들이 나중에 사회지도층이 되지. 이럴 때 어떤 문제가 있을까?
△ 지금은 못해도 나중에 노력해서 ‘실력’이 있을 수 있는데,  그런 사람들에게는 기회가 없잖아.

- 부모님이 부자이면, 아이들 공부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까?
△ 약간은.. 그러니깐 내 말은, 일단 기회를 만들어 줄 수 있잖아. 이것저것 시켜보면서 1등하는 것보다는 일단, 자기에게 맞는 게 무엇인지 찾아줄 수 있잖아.

-만약 사람의 등수를 매긴다면 성적 말고 어떤 기준에서 등수를 매겨야 할까?
△ 친절하고, 열심히, 최선을 다해서 성적 오르는 사람 말이야.

-세상엔 말이야, 판검사는 존경을 받는 데 버스 기사는 무시하거든, 판검사는 되기 어려운 것이고, 버스 기사는 누구든지 할 수 있는 거라 그런가봐? 어떻게 생각하니?
△ 실력이 있어서 판검사를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게 더 행복할 수가 있는 거거든, 어떤 사람은 의사보다는 청소부가 더 행복할 수 있는 거지. 그러니깐 어떤 사람이 청소부를 하더라도 무시를 할 게 아니라, 실력이 있는데도 그 일을 하는 게 더 행복하기 때문에 하는 것일 수 있는 거야. 그리고 공부를 잘 해도 못하는 부분이 있잖아.

- 어떤 게?
△ 친구랑 친하게 지내는 걸 잘 못하잖아. 요즘은 친한 애들이 없으면 왕따를 시켜버린다구.

- 어떤 애가 왕따를 당했어?
△ 전여옥(가명)이란 애가 있는데 성격이 괴팍하고, 얼굴도 이상해, 왕따거든. 친구가 없는데 애들이 놀리니깐 걔가 38등을 했는데 41등으로 밀려났지. 또 왕따인 애가 누구냐면, 이회창(가명)이라고 5학년에서 공부를 제일 못하거든, 축구도 못하고, 저번에 게임할 때는 20골이나 먹혔어. 이런 애들이 (왕따들 중에) 보통 애들보다는 더 알려져 있지.

- 왜 이 아이들 소문이 더 퍼졌지?
△ 잘 생각해봐. 회사원들의 수가 별로 없을 때는 그 중에 특이한 회사원이 알려질 거야. 그런데 회사원들의 수가 굉장히 많아졌어. 그럼 오히려 그 회사를 청소하는 청소부 아줌마가 더 알려지지, 보통 회사원들은 비슷비슷하니깐. 원래 특이한 사람이 눈에 띄거나 소문이 더 잘 퍼지지. ‘흉보면서’ .. 그게 더 재미있고 기억에 남으니깐 더 퍼지지..

- 그렇게 공부 못하면 왕따당하니?
△ 물론 공부를 못해서 왕따를 당하는 건 아니고.. 오히려 체육시간에 운동 신경이 없으면 그게 오히려 왕따 대상이야.

- 무슨 말이니?
△ 만약 축구 수비수인데.. 그런데 그냥 자기 앞으로 굴러오는 공을 못 찼어. 그럼 애들이 왕따시키지. 공부 못해도 축구를 잘 하면 기죽진 않잖아. 축구도 한 과목이니깐.

- 그럼 공부만 잘 하는 애들은 친구가 없어서 안 좋을 거 같다고 했는데 그런 애가 있니?
△ 응.. 이재오(가명)... 걔는 1등하거든, 축구도 잘 하고, 친구도 2~3명 있긴 있어. 그런데 성격이... 뭐랄까? 친구에게 인사를 먼저 건네는 게 아니라 인사 해주길 기다리고.. 똑같은 말을 해도 재수 없이 해.

- 그럼 그 애가 계속 1등해서 나중에 지도층 반열에 올랐어. 그렇게 가정 해보자구, 그럼 기분이 어쩔 것 같아?
△ 일단 아는 척 하는 게 우선이지. 일부러라도 말이야. 이모가 버스에서 어떤 친구 만났는데 친한척 해오니깐  절규했다고 했잖아. (무슨 말인지 처음에 이해가 안 됨. 나중에 이 말 뜻을 알고 얼굴을 들지 못함) 나도 그 친구처럼 일단 ‘친한’척 하겠지.

- 왜?
△ 나중에 내가 어디 가서 ‘무시’당하는 일이 있을 때 말이야, 그때 내가 “나 ‘이재오’랑 친해”라고 말하면 사람들의 기가 죽을 수 있거든,

- 그럼 ‘기’사는 게 그렇게 중요한 거니?
△ 항상 ‘기’가 살 필요까지는 없지만, (웃으며) 적어도 ‘기’가 죽진 말아야지. 꼭 이재오 같은 애는 아니더라도 살아가는데 ‘친구가 많거나’ ‘사람들에게 이름이 알려진 사람’을 알면 ‘기’가 살 거 같아. 있잖아.

-어떤 사람이 지도자가 돼야 할까?
믿음직한 사람이지, 호감가기도 하는데, 믿음이 가는 사람 말이야. 사람을 대하는 태도도 그렇고, 이재오(가명)같은 애 말고 창수(가명)처럼 착해야지.

- 창수라면 재학년 평가 때 60점 받은 애지? 그 애가 어떻게 착한데?
△ 축구할 때 보면, 개인플레이도 잘 하는데, 애들에게 패스를 잘 주거든, 저번에 반 대항 시합 벌일 때 말이야, 전반전에 이런 일이 있었어. 창수가 상대편 수비수랑 골키퍼까지 다 제쳤거든, 그리고 드리블하면서 골대 앞 까지 갔어. 그 상황에서는 자기가 넣을 수도 있잖아. 그런데 그 옆에 있던 (하버드를 버린) 정원이에게 ‘패스’하더라구.

- 왜?
△ 창수는 골을 많이 넣어봤거든, 그런데 정원이는 한번도 못 넣어봤어. 그래서 ‘너도 한번 넣어봐’하면서 준거지.

- 그때 그 광경을 보고 어땠어?
△ 신선하다고나 할까? 조금 감동도 되고,

- 창수가 그렇게 축구를 잘 해?
△ 그렇게까지 천재적으로 잘 하는 건 아니고... 3학년 때 보면, 창수가 있는 반이 다른 반보다는 확실히 잘 하는 걸 느끼거든, 창수랑 축구하면 창수는 못하는 애들에게도 공을 자주 준 단 말이야. 그러니 그때는 못했던 애들이 실력이 확실히 느는 게 보여. 원래 3학년까지는 축구하는 걸 보면, 처음 시작할 때만 자기 포지션에 잘 서있지, 시작하면, 전체공격, 전체수비로 가잖아. (웃으며) 골키퍼도 보면 자기가 수비수라고 생각할 때도 많아. 그러다가 고학년으로 올라오면 운동장에 그어진 중앙‘선’들이 보이는 거지.

- 창수가 또 어떤 점에서 지도자감이라고 생각해?
△ 4학년 때 일인데, 그때 이인재(가명)이라는 왕따가 있었어. 그런데 창수 입장에서는 인재가 안 돼보인 거야. 그래서 그 애랑 친해져서 같이 다녔거든, 그 때 창수까지 함께 비난을 당했거든, 그런데도 창수는 인재를 감싸줬지.

- 그때 비난을 당할 때 창수는 어떻게 반응했어?
△ 웃고 다니더라구.

- 결국 어떻게 됐어?
△ 인재는 ‘왕따’에서 풀리고 친구가 생겼어.

-너는 창수가 훌륭한 지도자감이라고 했잖아. 하지만 성적이 어느 정도 돼야 하는 거 아니니?
△ 물론 창수는 학원을 안 다니지. 하지만 교회를 다녀서 그런지 착해, 그리고 국영수는 성적이 안 돼도, 축구도 한 과목이잖아. 축구는 뭐.... 멍청하면 잘 할 수 있는 분야야? 축구할 때 보면 이재오(가명)와는 극과 극이야.

- 재오가 어떤데?
△그때 반 대항전 할 때 후반전에 있었던 일이야. 그때 1대 1인 상황이거든, 그런데 상대편 골키퍼와 수비수가 서로 부딪혀서 쓰러진 거야. 좋은 기회잖아. 재오가 골을 그냥 툭~ 하고 밀어만 넣으면 됐거든, 그런데 멋있게 보이려고 공을 빵~ 찬거야. 그래서 그 공이 어떻게 됐는지 알아?

- 어떻게 됐는데?
△ 골대 위로 넘어가버렸잖아. 재오에게는 반 승리보다는 자기 이미지가 더 중요했던 거지. 그때 상대편 골키퍼가 한 마디 했잖아.

- 뭐라고?
△ “이그.  넌 그것도 못 넣냐?” 라고. 그 경기가 끝나고 급식이었거든, 재오는 급식 먹으러 가지도 않고 교실로 들어가서 엉엉 울었잖아.

- ‘재오’ 같은 애가 대통령이 되면 어떨까?
우리나라보다는 자기 이미지가 더 중요하겠지, 미국이 강대국이잖아.

- 강대국이 아니라 (한겨레 이제훈 기자의 말마따나) ‘과도’ 강대국이지..
우리나라에 넘쳐나서 더 이상 필요 없는 것도 미국으로부터 수입해들어오겠지.

- 창수 같은 애가 대통령이 되면?
△ 자기 이미지보다는 그래도 나라를 먼저 위하지 않겠어?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(2)  초등학교 5학년 男
(조카 친구가  집에 왔길래 인터뷰 함, 06년 12월 중순)

- 현재 다니는 학원이 있다면?
△ ‘종합학원’요. 그러니깐 ‘국영수사과’를 가리키는데요. 오후 5시30 분부터 시작해서 저녁 8시 반에 끝나요. 근데 요즘 1시 30분부터 3시 20분까지 보강도 하거든요.

- 아침에 학원가기 전에 어떤 생각이 들어?
△ 가기 싫단 맘.

-학원을 다니는 이유가 뭐지?
△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서요. 독서하는 습관을 가지면 좋은 직장을 얻겠죠.

- 이제 6학년이 될 텐데.. 13살까지는 어린이로 불리다가 14살 중학교에 들어가면 청소년이 되거든.. 그런데 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어린이라고 불릴까? 1학년과 6학년은 참 다르잖아. 6학년은 축구하다 넘어져도 너 때문이라고 탓하며 싸우진 않잖아. 왜 ‘어린이’라고 함께 부르는 걸까?
▲(조카개입) 희망이니깐.

- 뭐.. 희망이라고?  왜?
▲ 새 나라의 ‘희망’ ..

- 그럼 중학교 가면 그 희망이 사라져서 청소년이라고 하는 거냐? 넌 좀.. 조용히 해!!. (△를 향해) 왜 그런 걸까?
(고민하다가) 14살이 되면 (몸 여기저기에) 털이 나고, 수염이 나고, 키가 커지니깐... 그러니깐 생김새가 어른다워져서 그런 게 아닐까요?

- 그런데 실제로 중학생 형들 만나면 어때? 생각하는 게 너랑 다른 거 같아?
△ 고등학생 형들은 확실히 다른 거 같은데요. 중학교 형들은 별로 다른 거 못 느끼겠어요.
▲ (조카개입) 맞아.. 맞아. 다른 거 없어 우리 친척 형 중에 중1이 있거든.. 그런데 방학 때 만나면 소파에서 레슬링 하자고 하거든.. 그러다가 거기서 먼저 떨어졌어. 그러니깐 울더라.

- (▲에게) 넌. 좀 조.용.히 해.줄.래? (△에게) 넌 뭐가 비슷한 거 같아?
△ 제가 아는 형(중학생)이 있어요. 그런데 제사 때 만나면 제가 정말 하기 싫은 ‘레슬링’이나 ‘격투기’를 하자고 그래요. 그러다가 자기가 당하면 창피해서... 거만하게 나오거든요. 참 유치해요.
▲ ‘△’의 왼팔에 맞아서 ‘운’ 형도 있었어..

- 누군데?
△ 아... 그게요, 어떻게 된 거냐면.. 중학교에 들어간 형인데.. 뒤로 와서 머리를 한 대 때리고 도망하고 그런 형이 있었어요. 전 후배라서 참았는데 하루는 저에게 “때려봐” “때려봐” 하면서 놀리더라구요. 그래서 왼쪽 주먹으로 배를 쳤죠. 그랬더니 아프다며 울더라구요.

- 그때 어땠어?
△ 밖으로야 “아파? 형” 그랬지만, 속으로는 ‘야! 후배라고 해서 담부터 놀리지 마!’ 그랬죠.

- ‘어린이’라고 해서 ‘중학생’에 비해 차별 받는 게 있다면 어떤 걸까?
△ 전 그렇게 차별받는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요. 음... 게임에서요. ‘14세 이상’ 이렇게 돼 있는 게 있거든요. ‘써든어택’ 이나 ‘건즈’같은 거요. 그런데 그거 못하게 하는데... 좀 이상해요. 19세 이상 게임을 보면.. 확실히 잔인하거든요. 그런데 ‘14세 이상’을 보면 ‘총을 겨누는’ 정도인데,  못 하는 게 하는 게 이해할 수 없어요. 그리고 하려고 해도 부모님 동의부터 시작해서 뭐.. ‘동의합니까?’하는 가입절차가 너무 복잡해서 ... 그냥 포기해버렸죠.

- ‘어른’이란 뭐지?
△ 회사도 다니구요, ‘술’과 ‘담배’도 할 수 있고.. 집도 살 수 있고..

- 그러니깐, 자기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거지?
▲ (조카 개입)  돈 빌릴 수도 있잖아. 산와머니.. 러시 앤 캐시...

- 그럼 그런 ‘어른’이 되기 위해서 지금 어떤 준비를 하고 있지?
△ ‘공부’요.

- 그럼 지금 하는 ‘공부’면 나중에 어른이 되는데 충분할 거 같아?
(작은 목소리로) 모르겠어요.

- 음.. ‘사지’가 없는 장애인... 이런 경우에는 성인이니? 돈도 못 벌고.. 밥도 먹여줘야 하잖아.
(당황해하며) 성인은 맞는 데... 도와줘야 할 사람이 있을 거 같아요.

- 그런데 성인이라면, ‘자기 스스로 결정’해야 한다고 했잖아. 그런데 어른들도 어떤 일을 결정할 때, 친구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부모님에게 물어보고... 또 어떤 경우에는 점쟁이에게 찾아도 가보거든. 어떻게 생각해?
△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데요.

- 마마보이는 어때? 누가 그렇게 만든 걸까?
△ 전 ‘부모님’ 잘못 같은데요. ‘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’ 같은데도 보면 집안이 잘 못된 경우가 많잖아요.

- 실제로 나중에 커서 ‘마마보이’될 것 같은 친구 본적 있니?
△ 있어요.

-어떤데?
△ 행동들이요. 청바지의 단추가 하나 떨어지면, 엄마에게 전화해서 말하구요. 준비물도 필수는 아니고,  갖고 올 수 있는 그런 준비물 말이에요. 그것도 부모님에게 전화하고.. 옷 같은 것도 엄마에게 골라달라고 하고.. 전 그렇게 된 게 엄마 문제 같아요.

- 그럼 질문을 바꿔서 .. 친구들하고 있을 때 말이야. 놀다가 서로 다른 놀이를 하고 싶을 수 있는데 그땐 어떻게 하지?
△ 친구들이 엄청 많이 있을 때는요. 다수결로 하구요. ‘둘’이 있을 때 그러면 더 좋은 쪽으로 정하죠.

- 구체적으로 어떻게?
△ 가령 저는 방방타고 싶고 친구는 PC방 가고 싶으면, 방방 탄 다음에 PC방엘 간다든가.

- 그렇게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해주면 어떤 점이 좋은 거 같아?
△ 더 친해지는 거 같아요. 그리고 제 성격이 점점 달라져요.

- 좋은 쪽으로?
△ 네.

- 혹시 공부 때문에 자존심이 상한 적이 있니?
△ 친한 친구들은 다 잘 봤는데... 혼자 못 보면 자존심 상하죠. 그리고 시험등수 매기고 못하는 애들 수업시간에 나오라고 해서 앞에 나와 ‘문제’풀라고 할때..좀 창피하면서 자존심이 상하죠. 그리고 수업 끝나서도 남으라고 하는 것도 그렇고..
▲ (조카 개입) 저번에 칠판 앞으로 나와 푼 애가 세 명이었거든. 근데 그 중 여자애가 저번에 ‘△’에게 맞아서 운 애 여동생이야. (계속)